2008. 7. 3. 16:31

정치권력과 시민사회간의 소통

행위자의 의지가 사회변동에 끼치는 영향력을 강조하는 '신기능주의'의 주창자인 제프리 알렉산더 교수(예일대)에 따르면 민주주의와 권위주의를 구분짓는 것은 정치권력이 시민사회를 향해 힘을 행사하는가 아니면 설득을 시도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한다.

최근 방한한 알렉산더 교수는 어느 사회이든 부정과 부패가 있기 마련이므로 “좋은 사회는 조용한 사회가 아니라 스캔들이 많은 사회”라고 주장한다. "그 스캔들이 지속적으로 밝혀져서 시민들이 이에 반응하는 것이 좋은 사회”라는 것이다.(한겨레 7/3/2008 참조)

그렇다면 여당 원내대표가 말한 것 처럼 '촛불정국이 5년 내내 가는 것'이 결코 바람직스럽지는 않겠지만 '시끌법적한' 사회 자체가 문제는 아니라는 이야기가 된다.

디지털 공간이 가능한 오늘날 '물리적인' 광장에서 계속 되는 집회는 막대한 기회비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시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촛불'을 들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안타깝다. 한데 정부가 70년대 새마을 운동시절 처럼 전국 수천명의 동장을 한자리에 소집했다는 소식에는 가슴이 답답해진다.

물리적으로 '세'를 과시할 필요없이 주장의 정당성만으로도 토론의 자리가 만들어지고, 합리적인 토론을 통해 합의가 도출되고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그런 사회가 되기에는 아직 우리에게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가 보다.  
 
현재의 촛불정국은 보수정권에 대한 진보세력의 저항이라고 평가한 오버도퍼 교수는  한국사회에서 진보파는 좌파가 아니라 온건한 자유주의자(Liberals)라고 말했다. '진보'와 '보수'세력의 대결이든, '쇠고기 안전성' 문제이든 진정한 대화의 장이 빨리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008. 7. 1. 00:45

국민게임화의 함정(?)

스마트 플레이스(www.smartplace.co.kr)의 바비님이 올린 글에 따르면 올해 초 한 인터넷 포털사의 실적 컨퍼런스에서 웹보드 게임의 국민게임화를 목표로 설정했다고 한다.

모든 기업은 영리추구가 주요 목적이므로 위와 같은 마케팅 목표설정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최근 인터넷 포털 게임부문의 사행성 논란이 일면서 이러한 마케팅 목표가 지니는 사회적 의미는 상당히 부정적일 수 밖에 없다. 더우기 그 회사가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사행성 방지 장치들을 설정하지 않고 있다는데에 대해 많은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작년 기준 게임사업에서만 번 돈이 2400억 원인데 수익이 급락하게 되기 때문에 고액베팅 제한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이라는 분석이다. 위에 소개한 바비님에 따르면 CJ투자증권에서는 해당사의 웹보드 게임 영업이익률이 78%에 달한다고 하니 쉽게 포기할 수 없는 부분임은 틀림없다. 

하지만 홍보관점에서 본다면 아무리 마케팅 차원의 목표라고 하더라도 이러한 내용이 외부에 공개될 경우 회사 전체의 명성에 흠이 될 만한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인터넷 게임 뿐만 아니라 각종 사행성 사업에서도 이러한 목표가 설정되었다면 '사행성 조장'이라는 공격을 받게 될 것이다. 개인이나 조직이나 항상 표현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2008. 6. 30. 17:52

2008년도 상반기 전세계 M&A 규모 35% 감소전망

톰슨 로이터에 따르면 사모펀드의 M&A 시도가 줄면서 세계적으로 올해 상반기 M&A규모가 약 35% 정도 감소했다고 한다. 유럽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66%, 미국의 경우 86%까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관계자는 지난해 상반기와 같은 M&A붐이 일어나려면 앞으로 3~4년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동 및 아시아권의 자금이 투자되고 있지만 전체적인 경향을 뒤집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의 반전 속에서 내년초부터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자통법의 영향력은 어떻게 나타날 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