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4. 2. 19:05

MSG 마케팅: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숙제

한동안 뜸했던 MSG 위해성 논란이 식품업계의 MSG 마케팅으로 다시 이어지고 있다. 현재 식품첨가물 이슈와 업무상 관련되어 있지 않으며 관련지식도 없지만 MSG 이슈는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들이 계속 생각해 봐야 할 '뜨거운 감자'인 것 같다.  

먼저, 관련 기사는 식품업계가 한편으로는 MSG 안전성 논란 및 규제에 반대입장을 펴면서도 한편으로는 'No MSG'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물론 모든 업체가 MSG마케팅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마케팅에 대해서도 입장차이가 있을 것이다. 

또한, 해당 기사는 MSG 무첨가 표시 제품이라도 MSG와 비슷한 성분(글루타민산)을 가지고 있다면 'MSG 무첨가'라는표현을 쓰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한다.  

MSG의 위해성에 대해서 소비자들은 여전히 불안감을 갖고 있는 반면 보건당국이나 식품업계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식품업계에서 MSG의 위해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면,  MSG나 또는 다른 대체제를 첨가하고 한다고 해도 문제가 될까? 

일단 쟁점은 MSG 위해성 여부가 아닐 것으로 보인다 (비록 소비자단체 측에서 동의하고 있지는 않지만). 먼저 같은 기업이 일부제품에는 'MSG 무첨가'마케팅을 진행하면서 다른 제품에는 계속 이를 활용한다면 윤리적인 차원에서 문제가 되겠다. 또한, 보건당국에서 지적하듯이 'MSG를 넣지 않았다'는 표현이 소비자들에게 '향미증진제를 전혀 넣지 않았다'는 의미(?)이거나 또는 '글루타민산이 들어있지 않다'는 인식(misleading)을 갖게 한다는 우려점이 있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전제(premise)의 진실성(즉,  MSG는 위해하다) 여부를 떠나서, 소비자들의 판단을 흐리게 할 수 있는 표현을 자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물론 업계입장에서는 전제인 MSG의 위해성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업계쪽에서는 마케팅에서 어떤 표현을 쓰든 문제는 없다고 주장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MSG 위해성'을 믿고 있는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부당하게 제한하게 된다.

근본적으로는 현재처럼 눈가리고 아웅하는 것과 같은 혼란을 없애기 위해 좀 더 적극적인 토론이나 연구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명확한 근거없이 불필요한 규제나 막연한 불안감을 초래하는 것도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업체에서는 MSG 대체제 역시 (위해성 여부를 떠나서) 체내에서 같은 물질로 변환됨을 알면서도 이를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 진정 유해하지 않다면 업계차원에서 소비자 단체 및 관계당국과의 적극적인 대화나 캠페인을 통해 이러한 인식을 바꾸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겠다. 

* MSG(Mono  Sodium Glutamate)는 글루타민산나트륨으로 향미증진제의 일종. MSG가 녹은 형태인 글루타민산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자연상태의 물질에도 존재하며 세계 보건관련 기구에서도 일일섭취권장량을 설정하지 않을 정도로 안전한 성분이라고 함. 

특히 '단백가수분해물'(hydrolyzed protein)을 쓴 식품은 MSG를 쓴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단백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함량이 5~20%에 이르기 때문에 글루타민산을 다량함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FDA는 단백가수분해물 등 글루타민산이 많이 들어 있는 원료로 만든 식품에 'MSG 무첨가' 표시를 하는 것을 허위.과대표시('misleading') 행위로 간주하는것으로 전해졌다. (파이낸셜 뉴스 2010. 4. 2)
2010. 4. 2. 16:17

"부정기사가 바로 위기는 아니다"(Kapcio)

미국의 명성관리 전문가 Peter M. Kapcio는 부정적인 기사(bad news)가 바로 위기를 뜻하지는 않지만 위기를 가져 올 수 있는 중요한 계기 또는 방아쇠(trigger) 역할을 한다고  말하고 있다. 

평범하지만 중요한 말로 다가온다. 위기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할수록 과연 무엇이 중요한 위기 요소인지 쉽게 판단되지 않는 역설적인 상황이 되기 쉽다. 즉, 위기요인에 대한 민감성(sensitivity)이 오히려 일상적인 상황에서 당면 위기요인을 재빨리 알아보기 어렵게 만들수 있다. 이는 현대사회에서 많은 요인들이 거미줄처럼 서로 뒤얽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온라인이나 전통매체에 뜬 부정적인 이슈나 기사가 하나의 위기 사안으로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실무자의 입장에서 모든 것이 다 위기요인이라면 어떠한 대응조치도 취할 수 없는 어려운 상황이 되어 버린다. 모든 것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무 것도 이야기 하지 않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오늘날 많은 위기요인들이 온라인 상의 부정적인 이슈로부터 출발, 전통적인 주류 미디어를 통해 소개됨으로써 그 뉴스의 가치를 추인받고 있다. Kapcio는 현재 많은 부분 인터넷에 책임(?)이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 즉, 사실에 기반하지 않았지만, 단순한 구글검색엔진의 실수로 다시 올려진 옛날 기사나 CNN 시민기자의 조작된 글들이 일시적이지만 해당 기업의 주가폭락으로 이어진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진위여부와 상관없이 온라인 상에서의 논란이나 검색어 순위 자체가 뉴스의 주요한 소재가 되고 있기에 그는 온라인상의 이슈에 대한 신속한 대응(time management)을 강조하고 있다. Kapcio는 오늘날 기업의 명성관리를 위해 중요한 지침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1. 부정적인 기사가 예견된다면, 제일 먼저 선제적으로 사실을 공개할 것 (Release it first, proactively and preemptively).
- '좋은 첫인상을 남길 수 있는 기회는 한 번뿐'이라는 부모님들이 어릴적 가르침에 빗대어 초기의 적극적인 대응을 강조하는 점이 흥미롭다.

2. 전모를 한꺼번에 공개할 것
- 공개하지 않은 사실이 조금씩 알려질수록 부정적인 기사가 걸려있는 시간만 길어질 뿐이며 그럴수록 조직의 명성은 더욱 위협받게 된다는 것

3. 곤란한 질문에 대한 답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묻기 전에 답하는 것

4. 사실과 행동(facts and actions)만이 무성한 소문과 추측을 이길 수 있음

5. 부정적인 소식은 내부직원들과 제일 먼저 공유할 것

각 지침 자체가 새로운 것이지는 않지만 최근 군 당국의 사고 대응과정에 비추어 볼 때 생각해 볼 점이 많을 것 같다. 
2010. 3. 31. 16:15

위기관리 전성시대(?)

독일의 사회학자가 얘기한 것처럼 우리사회가 위기사회로 접어들었기 때문인가? 정부에서는 연일 여러부처에서 공동으로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고, 각료회의도 지하벙커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회의 내용을 들여다 보면 사회적인 위기의식 또는 부처단위의 위기의식을 고취하고자 하는 취지에서의 정책협의일 뿐 구체적인 위기관리 대상이나 목적은 뚜렷해 보이지 않는다. 아마 전통적인 관 주도의 '표어'나 '구호'차원이 아닐까. 이전 정부에서 '혁신'을 강조했듯이 현재는 '위기관리'가 하나의 마케팅 용어가 된 것 같다.  

모든 것을 얘기하는 것은 아무 것도 얘기하지 않은 것이라고 했다. 지나치게 넓은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는 실제적인 활용성이 떨어질수가 있다. 최근의 군함 침몰사고에서 나타나듯 위기관리의 헛점들이 드러나는 상황에서도 초기 대응이 완벽했다고 자부하는 상황은 해당 부처의 위기관리가 아직 많이 부족했음을 반증하고 있다고 하겠다.

제대로 된 위기관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우선 회의 내용이나 성격에 맞지 않은 채 상징으로만 소비되고 있는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줄여나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