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첨가물'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0.04.02 MSG 마케팅: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숙제
  2. 2009.02.27 독일, 너 마저...
2010. 4. 2. 19:05

MSG 마케팅: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숙제

한동안 뜸했던 MSG 위해성 논란이 식품업계의 MSG 마케팅으로 다시 이어지고 있다. 현재 식품첨가물 이슈와 업무상 관련되어 있지 않으며 관련지식도 없지만 MSG 이슈는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들이 계속 생각해 봐야 할 '뜨거운 감자'인 것 같다.  

먼저, 관련 기사는 식품업계가 한편으로는 MSG 안전성 논란 및 규제에 반대입장을 펴면서도 한편으로는 'No MSG'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물론 모든 업체가 MSG마케팅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마케팅에 대해서도 입장차이가 있을 것이다. 

또한, 해당 기사는 MSG 무첨가 표시 제품이라도 MSG와 비슷한 성분(글루타민산)을 가지고 있다면 'MSG 무첨가'라는표현을 쓰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한다.  

MSG의 위해성에 대해서 소비자들은 여전히 불안감을 갖고 있는 반면 보건당국이나 식품업계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식품업계에서 MSG의 위해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면,  MSG나 또는 다른 대체제를 첨가하고 한다고 해도 문제가 될까? 

일단 쟁점은 MSG 위해성 여부가 아닐 것으로 보인다 (비록 소비자단체 측에서 동의하고 있지는 않지만). 먼저 같은 기업이 일부제품에는 'MSG 무첨가'마케팅을 진행하면서 다른 제품에는 계속 이를 활용한다면 윤리적인 차원에서 문제가 되겠다. 또한, 보건당국에서 지적하듯이 'MSG를 넣지 않았다'는 표현이 소비자들에게 '향미증진제를 전혀 넣지 않았다'는 의미(?)이거나 또는 '글루타민산이 들어있지 않다'는 인식(misleading)을 갖게 한다는 우려점이 있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전제(premise)의 진실성(즉,  MSG는 위해하다) 여부를 떠나서, 소비자들의 판단을 흐리게 할 수 있는 표현을 자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물론 업계입장에서는 전제인 MSG의 위해성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업계쪽에서는 마케팅에서 어떤 표현을 쓰든 문제는 없다고 주장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MSG 위해성'을 믿고 있는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부당하게 제한하게 된다.

근본적으로는 현재처럼 눈가리고 아웅하는 것과 같은 혼란을 없애기 위해 좀 더 적극적인 토론이나 연구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명확한 근거없이 불필요한 규제나 막연한 불안감을 초래하는 것도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업체에서는 MSG 대체제 역시 (위해성 여부를 떠나서) 체내에서 같은 물질로 변환됨을 알면서도 이를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 진정 유해하지 않다면 업계차원에서 소비자 단체 및 관계당국과의 적극적인 대화나 캠페인을 통해 이러한 인식을 바꾸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겠다. 

* MSG(Mono  Sodium Glutamate)는 글루타민산나트륨으로 향미증진제의 일종. MSG가 녹은 형태인 글루타민산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자연상태의 물질에도 존재하며 세계 보건관련 기구에서도 일일섭취권장량을 설정하지 않을 정도로 안전한 성분이라고 함. 

특히 '단백가수분해물'(hydrolyzed protein)을 쓴 식품은 MSG를 쓴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단백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함량이 5~20%에 이르기 때문에 글루타민산을 다량함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FDA는 단백가수분해물 등 글루타민산이 많이 들어 있는 원료로 만든 식품에 'MSG 무첨가' 표시를 하는 것을 허위.과대표시('misleading') 행위로 간주하는것으로 전해졌다. (파이낸셜 뉴스 2010. 4. 2)
2009. 2. 27. 08:15

독일, 너 마저...

'위험사회(Risk Society)"라는 저서로 유명한 율리히 벡 교수는 독일인이다. 그리고 잘 알려져 있다시피 독일은 세계적인 과학기술 선진국이다. 그런데 최근 독일산 식품첨가물에서 멜라민이 검출되어 국내 식품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사례는 현대사회가 위험사회의 특성을 지니는 이유, 그리고 신뢰사회와 위험사회가 왜 '비운'의 쌍둥이인지 생각해 볼 기회인 것 같다.    

독일이라는 선진국가의 이름이 주는 신뢰는 후진국 어느 나라가 전달할 수 있는 것보다 강하며 이것이 바로 국가 브랜드의 가치일 것이다. 그런데 이번 사례로 인해 적어도 한국국민들 사이에선 과학기술 강국으로서 독일이 쌓아온 크레딧을 많이 깎아먹은 듯하다.  

사회전반적으로 신뢰도가 낮은 사회에서는 모든 것을 각자가 알아서 확인, 또 확인해야만 한다. 부정부패가 심각한 사회에서라면 입찰서류 제출을 접수할 경우 각 단계마다 확인해야 한다. 서류가 위조된 것은 아닌지, 언급된 학교나 직장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아닌지, 직인이 위조된 것은 아닌지 이 모든 것을 확인해야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공장에서 모든 원재료 및 부품에 대해서 안전성, 적합성 검사를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여기다 글로벌 기업들에게 흔히 요구되는 원자재 단계에서부터 친환경성, 유기농, 아동노동 미투입 확인(child labor-free)여부까지 세계곳곳을 찾아 다니며 확인하기란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우리는 이전 단계에서 검증된 제품이나 서류는 안전하다거나 사실로 '믿고' 다음 단계의 공정이나 거래를 진행하게 된다.


문제는 이러한 신뢰와 신뢰의 고리를 더 이상 연결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간에 하나의 단계를 '무사히' 통과한 '위험'요소는 사회적 인프라라고 할 수 있는 '신뢰(trust)'를 바탕으로 빠른 속도로 사회를 순환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는, 따라서 '위험사회'에서는, 대규모 위기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물론 문제발생 원인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이전 단계나 다른 기관의 신뢰도에만 의존할 필요는 없다. 이미 상품 사용자들의 대화와 사용후기를 통해서 문제점을 찾아 내고 이를 신속하게 교정할 수 있는 '소통'이 가능한 사회다. 블로그와 커뮤니티 등 소셜미디어를 통한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이 대안으로서의 사회적인 안전장치 또는 검증장치로 이미 작동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기업이 이러한 소비자들로부터 끊임없는 문제제기(challenge)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문제의 해결방향 및 속도, 그리고 궁극적인 성패가 결정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