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10. 24. 18:00

유감표명과 배상금 외에 필요한 것

최근 막을 내린 지방자치단체 행사 마지막날 교통사고로 어린이 한명이 목숨을 잃었다. 단순 교통사고로도 볼 수 있었지만 행사 주관단체 대응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일부 언론의 보도가 이어졌다. 각종 행사관련 언론홍보 업무를 담당하는 PR인으로서 안타까움을 느끼게 해 주는 사건이었다.

사망사고가 있은 다음날 해당 지자체에서는 보도자료와 기고문을 통해 '성공적인 개최'를 주장(?) 할 뿐 사과와 관련된 유감표명은 없었다고 한다. 이에 유가족측에서 항의전화를 하자 관계자 몇 명이 찾아와 조의를 표했다고 한다. 취재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 행사 담당자들은 이미 유감표명을 했으며, 관련 보험사를 통해 배상하는 것 외에 달리 할 것이 무엇이냐고 반문했다고 한다. 정말 더 이상 할 것이 없었는지...

어떤 행사에서든 의전과 안전관리가 최우선이라고들 한다. 행사를 주관한 홍보담당자들은 미리 '성공적인 행사진행에 감사'한다는 내용으로 보도자료 및 기고문 등을 작성해 놓았을 것이다. 홍보담당자로서는 뜻하지 않은 사건을 언급함으로써 전체 기사의 맥(?)을 빠지게 하기도 곤란한 상황이었겠지만 유가족 입장에서는 '사고없이 무사히 끝나 감사'하다는 지자체장의 기고문을 도저히 받아들이기 어려웠을 것이다.한편 큰 조직일수록 명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작은 실수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는 더 날카로와 질 것이다. 

현실적으로는 사고현장에 안전관리요원이 위치해 있었다면 이번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다. 적어도 사고 직후 행사관계자들이 유가족의 심정을 고려해 적절하게 대응했더라면 이후의 부정적인 기사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이번 사건을 보도한 기자들이 적고 있듯이 많은 오류가 발견된다. 사고 당일 폐막식에서도 관계자들의 사고관련 유감표명이 없었고, 기고문 등에 대한 정정보도 요청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항의전화 접수 후에야 관계자 조문이 있었으며, 행사참여 인원도 약 두배가량 부풀려 졌다는 후속기사들이 이어졌다. 반대로 피해자 입장에서의 상황파악, 상황변화에 따른 신속하고 적절한 유감표명 또는 사과문 발표, 관련 자료배포 등이 필요한 상황이었다고 하겠다.  
 
PR 담당자들이 현장상황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기획된 템플릿에 따라 움직이고, 소수의 희생이나 불만을 당연하게 생각할 때 해당 조직은 문제를 자초하고 있다고 하겠다.